자동차 튜닝(Modification&Tuning)은 자동차의 공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구조 및 장치의 성능을 증가 또는 개선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튜닝과 구분해야 할 것이 자동차 정비(Maintenance&Repair)인데, 이는 자동차를 수리하거나 부품의 교환 및 조정을 하는 행위로 튜닝과는 그 차이가 확연하다. 자동차관리법 제2조 11항에 보듯 ‘자동차튜닝’은 자동차의 구조.장치 일부를 변경하거나 자동차에 부착물을 추가하는 것으로, 2015년 12월 교육부 및 한국자동차튜닝협회(KATMO)에서 개발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자동차의 성능향상, 구조 및 디자인 변경을 목적으로 부품과 시스템의 기획, 설계, 제작, 조립, 장착, 시험, 검사 업무를 수행하는 일’로 정의했다.
정의에서 볼 수 있듯 자동차튜닝은 광범위한 확장성을 갖고 있는 관계로 매우 심도 있게 접근해야 하는데, 2014년 6월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 등을 중심으로 정부는 튜닝산업진흥대책을 수립하고, 규제완화와 산업활성화를 위해 관련 업계는 물론 협회와 학계가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고 그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그 일환으로 튜닝부품 인증제와 인증센터 구축, 튜닝부품의 DB 구축, 보험문제 해결과 튜닝업종 관리체계 구축방안 강구와 산업분류코드에 튜닝업종 신설, 튜닝을 중심으로 하는 복합단지 구축과 고성능 자동차 개발 및 튜닝부품 개발 및 평가기술개발, 튜닝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제조사 AS 거부(인증 받은 튜닝용 부품을 사용한 자동차는 수리가 필요 할 때 튜닝을 했다는 것만으로 제조사가 수리를 거부하는 행위)’를 제한하는 관련법 정비, 한국자동차튜닝협회(KATMO) 주관의 모터스포츠 대회 개최와 튜닝카 경진대회의 국제대회로서의 확대 추진, 전문인력 양성과 국가기술자격 도입 등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프로세스를 가지고 진행하는 중이다.
자동차 튜닝(Modification&Tuning)은 자동차의 공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구조 및 장치의 성능을 증가 또는 개선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튜닝과 구분해야 할 것이 자동차 정비(Maintenance&Repair)인데, 이는 자동차를 수리하거나 부품의 교환 및 조정을 하는 행위로 튜닝과는 그 차이가 확연하다.
자동차관리법 제2조 11항에 보듯 ‘자동차튜닝’은 자동차의 구조.장치 일부를 변경하거나 자동차에 부착물을 추가하는 것으로, 2015년 12월 교육부 및 한국자동차튜닝협회(KATMO)에서 개발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자동차의 성능향상, 구조 및 디자인 변경을 목적으로 부품과 시스템의 기획, 설계, 제작, 조립, 장착, 시험, 검사 업무를 수행하는 일’로 정의했다.
정의에서 볼 수 있듯 자동차튜닝은 광범위한 확장성을 갖고 있는 관계로 매우 심도 있게 접근해야 하는데, 2014년 6월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 등을 중심으로 정부는 튜닝산업진흥대책을 수립하고, 규제완화와 산업활성화를 위해 관련 업계는 물론 협회와 학계가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고 그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그 일환으로 튜닝부품 인증제와 인증센터 구축, 튜닝부품의 DB 구축, 보험문제 해결과 튜닝업종 관리체계 구축방안 강구와 산업분류코드에 튜닝업종 신설, 튜닝을 중심으로 하는 복합단지 구축과 고성능 자동차 개발 및 튜닝부품 개발 및 평가기술개발, 튜닝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제조사 AS 거부(인증 받은 튜닝용 부품을 사용한 자동차는 수리가 필요 할 때 튜닝을 했다는 것만으로 제조사가 수리를 거부하는 행위)’를 제한하는 관련법 정비, 한국자동차튜닝협회(KATMO) 주관의 모터스포츠 대회 개최와 튜닝카 경진대회의 국제대회로서의 확대 추진, 전문인력 양성과 국가기술자격 도입 등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프로세스를 가지고 진행하는 중이다.
이러한 튜닝시장의 할성화와 올바른 발전을 위해서는 세 가지 주의할 일이 있다. 첫째는, 모터스포츠와의 연계 등을 통해 일반 대중에 의한 ‘건전한 튜닝문화의 정착’이다. 둘째는, 선순환 시장구조의 개선과 튜닝부품 DB제공 등의 투명하고 신뢰성 있는 ‘튜닝부품 인증제도의 정착화다. 그리고 셋째는, 전문인력 양성과 중소기업 중점 육성을 위한 ‘튜닝업종 관리체계 구축’이다. 특히 자동차에 미치는 전반적인 관점과 기술적 능력을 바탕으로, 안전과 환경에 적합하게 자동차를 튜닝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 및 기술을 가진 전문가 육성이 절실한 시점이다.
이에 대해 독일, 미국의 경우 설계와 실무능력을 동시에 보유한 자동차공학 인력 교육과정으로 관련 인력을 육성, 운영하고 있다는 점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국내 자동차 관련 교육과정의 경우, 복합적 직무능력을 갖춘 인력양성에 미흡하므로 산업계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된 NCS를 참고하여 기술인력 양성에 집중하여야 한다. 특히 튜닝 전문인력 양성은 일자리 창출에도 직결된다. 기획, 설계(부품설계 및 고성능 자동차개발포함), 특장차 제작, 판매, 유통, 검사, 1인 튜닝업체등 창의적으로 일자리 창출을 아우르는 분야로, 이에 대한 필요성과 발전 가능성을 봤을 때 사회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
이러한 튜닝시장의 할성화와 올바른 발전을 위해서는 세 가지 주의할 일이 있다. 첫째는, 모터스포츠와의 연계 등을 통해 일반 대중에 의한 ‘건전한 튜닝문화의 정착’이다. 둘째는, 선순환 시장구조의 개선과 튜닝부품 DB제공 등의 투명하고 신뢰성 있는 ‘튜닝부품 인증제도의 정착화다.
그리고 셋째는, 전문인력 양성과 중소기업 중점 육성을 위한 ‘튜닝업종 관리체계 구축’이다. 특히 자동차에 미치는 전반적인 관점과 기술적 능력을 바탕으로, 안전과 환경에 적합하게 자동차를 튜닝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 및 기술을 가진 전문가 육성이 절실한 시점이다.
이에 대해 독일, 미국의 경우 설계와 실무능력을 동시에 보유한 자동차공학 인력 교육과정으로 관련 인력을 육성, 운영하고 있다는 점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국내 자동차 관련 교육과정의 경우, 복합적 직무능력을 갖춘 인력양성에 미흡하므로 산업계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된 NCS를 참고하여 기술인력 양성에 집중하여야 한다.
특히 튜닝 전문인력 양성은 일자리 창출에도 직결된다. 기획, 설계(부품설계 및 고성능 자동차개발포함), 특장차 제작, 판매, 유통, 검사, 1인 튜닝업체등 창의적으로 일자리 창출을 아우르는 분야로, 이에 대한 필요성과 발전 가능성을 봤을 때 사회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
한국산업마케팅연구소의 ‘2014 튜닝산업 및 일자리 동향조사’와 한국노동연구원의 ‘자동차튜닝업종 고용영향평가 분석 및 일자리 창출효과’ 등의 정량적. 정성적 분석과 관련 협회와 학회 등의 관련업계와의 각종 설문조사, 공청회 결과 등을 기반으로, 튜닝의 문제점(산업과 문화)을 정확히 진단하고 튜닝활성화를 위한 실천을 몇몇 사람이 아닌 시스템에 기반을 두고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물론, 이해 당사자 간의 협의와 조정을 통한 끊임없는 소통을 통해 자동차 튜닝활성화의 안착을 기대해 본다.